
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온갖 전문 용어와 줄임말이 난무하는 상황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. "이거 KPI 맞춰야 하니까 ASAP로 진행해 주세요!" 이런 말을 듣고 당황했던 경험, 한 번쯤 있으시죠? 😅
이제는 모르면 안 되는 회사 용어들! 업무를 더 원활하게 하고, 보고할 때 스마트한 직장인처럼 보일 수 있도록 필수 용어를 정리해 봤습니다. 📚
📈 비즈니스 기본 용어
1. B2B (Business to Business)
🔍 기업 간 거래를 의미합니다. 회사와 회사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비즈니스 활동을 뜻하죠. ▶ 예: 소프트웨어를 기업에 판매하는 SaaS 회사
2. B2C (Business to Consumer)
🔍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입니다. 일반적으로 우리가 쇼핑몰에서 물건을 사는 것과 같은 형태가 이에 해당합니다.
▶ 예: 쿠팡, 네이버쇼핑 등
3. KPI (Key Performance Indicator)
🔍 핵심 성과 지표로, 목표 달성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입니다. 성과 평가에 자주 활용되죠.
▶ 예: 매출 증가율, 고객 유지율
4. OKR (Objectives and Key Results)
🔍 목표와 핵심 결과를 뜻하는 용어로, 기업이 설정한 목표를 측정하고 달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.
▶ 예: "올해 안에 신규 고객 10만 명 유치 (Key Result: 매월 8,000명 확보)"
5. FY (Fiscal Year)
🔍 회계 연도를 뜻하는 용어입니다. 대부분의 기업은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기준으로 하지만, 일부 회사는 다르게 운영하기도 합니다.
💬 회의 & 보고 관련 용어
6. Agenda
🔍 회의의 안건 또는 논의할 주제를 의미합니다. ▶ 예: "오늘 회의 아젠다는 프로젝트 일정 조율입니다."
7. Minutes
🔍 회의록을 뜻합니다.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기록한 문서죠. ▶ 예: "지난주 미팅 미닛 공유해 주세요."
8. Wrap-up
🔍 마무리를 의미합니다. ▶ 예: "이제 랩업하고 다음 주 일정 정리합시다."
9. Follow-up
🔍 후속 조치를 뜻합니다. 회의 이후 필요한 일을 정리하는 것이죠. ▶ 예: "이번 프로젝트 관련해서 팔로업 미팅 잡겠습니다."
10. Briefing
🔍 간단한 보고나 설명을 의미합니다. ▶ 예: "오늘 아침 브리핑에서 주요 이슈를 다뤘습니다."
📅 일정 및 프로젝트 관리 용어
11. Deadline
🔍 마감 기한을 의미합니다. 지키지 않으면 큰일 나죠! ▶ 예: "데드라인이 금요일까지니까 서둘러야 해요."
12. Milestone
🔍 프로젝트 진행 중 중요한 목표 지점을 뜻합니다. ▶ 예: "이번 마일스톤까지는 디자인을 완료해야 합니다."
13. Roadmap
🔍 장기적인 계획을 의미합니다. ▶ 예: "내년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로드맵을 짜고 있어요."
14. Deliverable
🔍 제출해야 하는 결과물입니다. ▶ 예: "이번 주 딜리버러블은 보고서 작성입니다."
15. Kick-off Meeting
🔍 프로젝트 시작을 알리는 회의를 뜻합니다. ▶ 예: "이번 주 킥오프 미팅에서 전체 일정 공유하겠습니다."
🏢 업무 방식 및 조직 문화 용어
16. Work-life Balance
🔍 일과 삶의 균형을 뜻합니다. 요즘 MZ세대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죠.
17. WFH (Work From Home)
🔍 재택근무를 의미합니다. ▶ 예: "내일은 WFH라서 화상회의로 진행할게요."
18. Overwork
🔍 초과 근무를 의미합니다. 바람직하지 않죠. ▶ 예: "오버워크는 건강에 안 좋아요."
19. Turnover
🔍 직원 이직률을 뜻합니다. ▶ 예: "이 회사는 턴오버율이 높아서 고민이네요."
20. Networking
🔍 인맥 형성을 의미합니다. ▶ 예: "네트워킹 이벤트에서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났어요."
🌟 마케팅 & 세일즈 용어
21. ROI (Return on Investment)
🔍 투자 대비 수익률을 뜻합니다. ▶ 예: "이 캠페인의 ROI가 높아야 추가 예산이 나옵니다."
22. Brand Awareness
🔍 브랜드 인지도를 의미합니다. ▶ 예: "SNS 광고로 브랜드 어웨어니스 높이는 중이에요."
23. Conversion Rate
🔍 전환율을 뜻합니다. ▶ 예: "홈페이지 방문자는 많지만 컨버전율이 낮아요."
24. CTA (Call to Action)
🔍 고객이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문구입니다. ▶ 예: "구매 버튼을 더 눈에 띄게 배치해 CTA를 강화해야겠어요."
25. USP (Unique Selling Proposition)
🔍 차별화된 강점이나 경쟁력을 의미합니다. ▶ 예: "우리 제품의 USP가 뭔지 명확하게 정리해 보세요."
이제 회사에서 대화할 때 좀 더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겠죠? 🚀 혹시 더 알고 싶은 용어가 있거나, 특정 용어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하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! 💟